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요즘 경기가 참 어렵습니다. 미국의 은행 몇 개 파산 소식에, 연준은 금리 상향. 한국은 주가 조작, 부동산 폭락, 가계 부채, 미분양 등... 많은 분들이 월급 외에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찾고 계실 거예요. 저 역시도 경제적 자유를 얻는 여러 가지 방법을 찾고 있고, 여러 관련 책들을 읽고 있습니다. 아주 오래전에 읽었던 기억에 남는 책이 있습니다. "폰더씨의 위대한 하루"와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라는 책입니다. 이 책들은 성공하는 이들이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것들을 담고 있습니다. 모든 결과는 나의 결정으로 이루어지는 나의 책임이며, 내가 내 치즈를 까먹을 뿐이라는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또한 성공하는 이들의 공통점은, 책을 많이 읽고, 많이 쓰고, 운동을 하며, 뭐든 마음먹..
2023. 5. 10.
비염, 비염에 좋은 생활 습관, 비염에 좋은 영양소
벌써 4월이네요. 날씨가 따뜻해졌지만, 황사와 미세먼지가 잦은 탓에, 요즘 비염이 심해졌습니다. 제가 비염 때문에, 이것 저것 찾아보고 실천하고 있는데요, 생각보다 주변에도 비염 때문에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정보 공유 차원에서 포스팅합니다. 1. 비염이란? 비염은 비강의 염증과 자극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코막힘, 콧물, 재채기, 가려움증, 두통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알레르기, 자극적인 어떤 것, 감염 도는 구조적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한번 발생할 때, 잘 관리하지 않으면 만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비염의 종류 알레르기성 비염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또는 동물의 비듬, 털 등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2023. 4. 13.
청년우대형청약통장
청년우대형청약통장은, 가입일 이후 2년 이상,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최대 10년간 우대 금리를 1.5% 적용하기 때문에, 일반 청약통장의 약 2배의 금리효과를 볼 수 있는 상품입니다.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입기간이 연장되며, 기존 청약통장이 있더라도, 갈아타기가 되기 때문에, 조건이 되신다면, 올해가 가기 전에 꼭 가입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이름 그대로 청년우대형청약통장이기 때문에, 몇 가지 조건에 맞아야 합니다. 만 19 ~ 34세 이하의 청년이어야 합니다. (다른 청년지원정책과 유사하게 병역기간을 최대 6년까지 인정해 줍니다.) 무주택 세대주이거나, 3년 이내 세대주 예정자이거나, 무주택 세대의 세대원일 경우 가능합니다. 소득이 있고, 직전 연도 수입이 3600만 원 이하일 경우 우대금..
2023. 3. 20.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미취업 청년(만 15 ~ 34세 이하)이 중소기업에 유입되도록 촉진하고, 청년 근로자의 장기근속 및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2016년 7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정책입니다. 청년이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제조 및 건설업종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2년간 400만원을 적립하면, 개인 400만 + 정부 400만 + 기업 400만 = 만기 1200만 + 이자 이렇게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제도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월 급여 총액이 300만원 이하이며,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군 경력자의 경우에, 군 복무기간을 산정하여 최대 만 39세까지) 다만, 동일 사업장에 근무해야 하고, 만기 후에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내일채움공제(3~5년) 재가입을 하거나 연장 가입이 가능..
2023. 3. 20.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5월 1일 시작)
1.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인원 확대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을 기존 10만 명에서 171,000명으로 확대됩니다. 2. 세부 상품 구조 일단 자격요건은요, 만 19세 ~ 만 34세 청년 중,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 및 사업소득이 월 50~2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수급자, 차상위자,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는 만 15세 ~ 만 39세 허용하며, 근로활동 중이면, 근로 및 사업소득 금액에 상관없습니다.) 2023년 가구 중위소득에 대한 기준이 바뀌었는데요, 내가 어디에 해당되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다음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가구소득 및 재산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대도시의 경우 3억 5천만 원, 중소도시의 경우 2억 원, 농어촌의 경우 1억 7천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청년..
2023. 3. 20.